[앵커]<br />오늘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지난 한 주 증시 동향을 정리하고, 앞으로 어떤 자산군에 주목해야 할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'증시 쏙쏙', 하나금융투자 윤보원 부장과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우선 지난 한 주간의 증시 상황부터 정리해 주시죠.<br /><br />[윤보원 / 하나금융투자 부장]21]<br />지난 한 주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과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의 하드 브렉시트 시사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12월 소비자심리 지수가 예상을 상회하는 등 경제지표는 호조를 보였지만 그동안 트럼프 수혜주로 주목받던 업종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들이 출회하는 모습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전체적인 지수를 살펴보면 MSCI 전세계지수는 전주 대비 0.63% 하락하고, 유럽에서는 안전자산 선호의 모습도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코스피는 삼성전자의 CEO 리스크와 중국 반도체 투자 소식 등으로 전기전자 업종 중심의 외국인 순매도가 나타나고, 코스닥 역시 외국인과 더불어 기관의 순매도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글로벌 변동성 요인의 하나였던, 트럼프 취임식이 일단락되었는데, 이후의 이번 주 국내 증시 전략, 어떻게 짜야 할까요?<br /><br />[윤보원 / 하나금융투자 부장]2]<br />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 자리에서 자국 일방주의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주변국들에게는 향후 정책적 위험요인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인프라에 대거 투자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긍정적 측면은 중국의 생산자 물가 및 미국의 12월 소비자 물가를 전제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고, 향후 선진국 중심의 투자 선순환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이에 수혜를 예상할 수 있는 업종은 철강, 비철금속, 화학, 반도체, 디스플레이 업종을 꼽아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25일에는 국내 4분기 잠정 GDP가 발표될 예정인데, 2.0% 수준 도달 할 것으로 전망합니다.<br /><br />다행스러운 점은, 이번 주 29개 주요기업들의 4분기 실적이 발표될 텐데, 대체로 중립이상의 기류가 우세합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를 제외한 여타 기업 실적 추정치도 예년과 다르게 긍정적 눈높이가 형성되어, 다가오는 1분기 실적에 대해서도 기대감을 가져갈 수 있는 업종 중심의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추세적인 강세 가능성은 여전히 소재, 산업재 및 IT 업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12316422535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